Bulilder로 한글 xml 만들기

배치 작업을 통해 오라클 db에서 데이타를 가져와서 xml을 만들 일이 생겼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AcriveRecord로 데이타를 가져오고 거기에 xml은 Builder로 만들면 편하겠구나 하는 생각에 1시간정도 뚝딱 거려서 만들어냈습니다. 딴짓(미투데이?) 안 하고 집중하니 정말 1시간도 안 걸리더군요. 로컬에서 만들어 나가면서 테스트 할 때에는 한글이 깨져 나오길래 로컬 LANG이 UTF-8이라 깨지겠거니 했습니다만…

RubyOnRails에서 Oracle 사용하기

개인적으로 RubyOnRails(이하 ROR)를 배우면서 ActiveRecord(이하 AR)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습니다. 웹개발에서만이 아니라 단독으로 사용 할 때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코코아Ruby 기반의 맥 어플리케이션을 만든다고 할 때 사용자 데이터를 로컬의 sqlite3에 저장하고 CRUD 작업을 AR로 한다면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겠죠.…

오늘의 업데이트

댓글에 사용하던 openid 플러그인을 교체했습니다. WP-OpenID 를 사용하니 워프 계정에 openid를 등록해서 쓸수도 있네요. 제일 좋은 것은 테마를 손대지 않아도 바로 openid 항목이 생긴다는 것이로군요. 서버의 php를 확 갈아 엎었습니다. 그동안 php4를 사용했는데 오늘 이것저것 좀 만지다가 갈아도 되겠지 싶어서 php5로 올려버렸습니다. 별 다른 변화는 모르겠습니다만 pear에서 제공하는 phpunit2가 php5에서만…

tddbe로 배우는 ruby - 1

요즘 한창 보고 있는 것 중에 하나가 루비 언어입니다. 책을 사놓고 보기 시작한 것은 꽤 된 것 같습니다만 그동안 별로 진척이 없다가 요즘 들어 시스템을 관리하거나 배포를 위한 스크립트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제대로 보고 있습니다. 넷빈즈6 에서 루비를 제대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도 이유 중에 하나이고요. 제가 루비 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선택한…